전체 글 153

웹 개발 기초 (css) 정리표

(1) 정의 css html을 꾸며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html의 특정 부분을 지칭해야만 특정 부분을 꾸밀 수 있다. 여기서 지칭하는 얘를 'class'라고 한다 뒤에 나오는 java script에 jQuery는 'id'라고 지칭을 하기 때문에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다. 태그, 태그, 심지어는같은 작은 얘들에도 class로 지칭이 가능하기에, 활용하는거에 익숙해 져야한다. (2) 사용 *{ font-family: 'Jua', sans-serif;} .mytitle { background-color : green; width : 300px; height : 200px; color : white; text-align : center; background-image: url(https://www.anci..

웹 개발 기본 표 (html)

나는 구역을 나누죠 나는 문단이에요 bullet point!1 bullet point!2 h1은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페이지마다 하나씩 꼭 써주는 게 좋아요. 그래야 구글 검색이 잘 되거든요. h2는 소제목입니다. h3~h6도 각자의 역할이 있죠. 비중은 작지만.. span 태그입니다: 특정 글자를 꾸밀 때 써요 a 태그입니다: 하이퍼링크 img 태그입니다: input 태그입니다: button 태그입니다: 버튼입니다 textarea 태그입니다: 나는 무엇일까요? html을 사용할 때 정리가 되어있는 코드들을 가져왔다. 나중에 필요한 부분들을 여기에서 가져갈 예정이다.

4월 18일 TIL

웹개발 강의를 1,2,3주차를 들어놓고 오늘 4주차를 시작했기에 4주차부터 정리를 시작한다. 오늘 공부했던 것 요약 = API, META, POST, GET 사실 한번에 강의를 들으니까 완벽하게 이해가 되질 않는다. get 방식 : 데이터를 조회 할 경우 주로 사용 post 방식 : 데이터를 변경, 입력, 수정 등을 할 경우 주로 사용 주로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볼 경우는 GET, 데이터를 부분부분으로 볼 경우엔 POST! app.py 파일과 index.html을 통해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상호작용을 하여 로컬개발환경을 구축했다. API를 통하여 웹에 있는 META 데이터를 받아오는 작업을 수행했는데 이것들에 관해서는 아마 WIL에서 코드들을 정리해서 다뤄야 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오늘의 TIL은 조금 ..